스마트폰으로 네이버 검색을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사실 ‘검색’이라는 건 아주 간단합니다.
찾고 싶은 단어(키워드)를 검색창에 입력하고 돋보기 버튼을 누르면 되니까요.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검색 결과를 어떻게 보느냐’입니다.
검색은 했는데 내가 원하던 정보를 찾지 못하거나,
광고나 필요 없는 글만 눌러서 시간을 허비한 경험, 한 번쯤 있으실 거예요.
특히 스마트폰은 화면이 작아서, 검색결과가 길게 이어질 때 방향을 잃기 쉽습니다.
오늘은 시니어분들이 네이버 검색결과에서 ‘진짜 필요한 정보’만 빠르게 찾는 방법을 차근차근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 검색결과는 ‘아주 길다’는 걸 기억하세요
- 검색결과는 ‘카테고리별로’ 나뉘어 있습니다
- 클릭하기 전에 ‘URL 주소’를 꼭 확인하세요
- 원하는 정보가 없으면 ‘다음 페이지’로
- 길게 볼 필요 없이 ‘카테고리 바로가기’ 활용하기
- 시니어를 위한 검색 습관 3가지
1. 검색결과는 ‘아주 길다’는 걸 기억하세요
스마트폰 화면은 한 번에 보여주는 정보가 많지 않습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같은 키워드를 검색해 보세요.
화면에는 몇 개의 결과만 보이지만, 아래로 계속 내려보면 끝이 보이지 않을 만큼 길게 이어집니다.
많이 하시는 실수가 있습니다.
검색을 하다가 스크롤을 내리다 보면 “내가 아까 뭘 찾으려고 했지?” 하고 잊어버리는 경우죠.
그래서 검색할 땐 키워드를 머릿속에 꼭 기억하고, 필요하다면 메모장 앱에 적어두세요.
또, 너무 오래 스크롤만 하지 말고, 중요한 건 ‘검색결과의 구조’를 먼저 파악하는 겁니다.
👈 민생회복 소비쿠폰으로 검색했는데 나온 길고 긴 검색 결과
직접 눌러서 큰 이미지로 확인해보세요!
2. 검색결과는 ‘카테고리별로’ 나뉘어 있습니다
네이버는 검색결과를 종류별로 카테고리를 나눠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검색했을 때:
- 제일 상단: 정부에서 제공한 설명 글
- 그 아래: 비즈니스·경제 인기글 – 블로그, 카페 등 일반인들이 작성한 글
- 조금 더 아래: 뉴스 – 언론사의 기사
- 더 내려가면: 이미지, 동영상, 쇼핑 등
카테고리 구분은 굵은 글씨 제목으로 표시됩니다.
한 번만 관심 있게 보시면 “아, 여기부터는 뉴스구나” “여기는 블로그 글들이구나” 하고 금방 알 수 있습니다.
💡 팁
- 정부·기관에서 제공한 공식 정보는 ‘객관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블로그나 카페 글은 사람들의 경험이 담긴 ‘주관적’ 정보일 수 있습니다.
- 내가 원하는 정보가 공식 자료인지, 경험담인지에 따라 보는 순서를 달리하세요.
3. 클릭하기 전에 ‘URL 주소’를 꼭 확인하세요
검색결과 제목 위에는 푸른색 글씨의 사이트 주소(URL) 가 있습니다.
URL은 인터넷의 ‘집 주소’ 같은 것으로, 이 글이 어느 사이트에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 주소에 .go.kr, .gov가 들어 있으면 정부 사이트입니다.
- .ac.kr이면 대학교, .or.kr이면 비영리 단체입니다.
- blog.naver.com이면 블로그 글입니다.
URL만 잘 봐도, 클릭하기 전에 이 글이 어떤 성격의 정보인지 미리 알 수 있습니다.
처음엔 낯설지만, URL을 보는 습관이 생기면 “이건 블로그네”, “이건 신문사네” 하고 금방 구분이 됩니다.
4. 원하는 정보가 없으면 ‘다음 페이지’로
아무리 긴 검색결과를 내려봐도 원하는 정보가 없을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땐 맨 아래로 내려가 보세요.
숫자가 보이면, 그것이 ‘다음 페이지’ 버튼입니다.
1, 2, 3… 이렇게 다른 페이지로 넘어가면 더 많은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 중요
검색결과는 페이지가 많을수록 최신·관련성이 떨어질 수 있으니,
1~3페이지 안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는 습관을 들이면 좋습니다.
5. 길게 볼 필요 없이 ‘카테고리 바로가기’ 활용하기
검색에 익숙해지면 굳이 모든 결과를 처음부터 끝까지 볼 필요가 없습니다.
네이버는 검색창 아래에 뉴스, 블로그, 카페, 이미지, 쇼핑 등 카테고리 버튼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뉴스’만 보고 싶다면, 검색 후 바로 ‘뉴스’ 버튼을 누르면 해당 카테고리 결과만 모아볼 수 있습니다.
6. 시니어를 위한 검색 습관 3가지
- 키워드 기억하기 – 검색 도중 목적을 잊지 않도록
- 카테고리와 URL 보기 – 정보의 성격을 미리 파악
- 불필요한 클릭 줄이기 – 광고나 필요 없는 글은 제목·주소에서 걸러내기
연습해 보세요
다음 키워드로 검색해 보면서 오늘 배운 방법을 적용해 보세요.
- 전기요금 할인
- 여름철 건강 관리
- 지역 축제 일정
각각의 검색결과에서 카테고리를 구분하고, URL을 확인한 뒤, 내가 필요한 정보만 터치해 보세요!
검색은 단순히 ‘입력하고 결과를 보는 것’이 아닙니다.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에는, 필요한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골라내는 능력이 더 중요합니다.
오늘 알려드린 카테고리 구분과 URL 확인 습관만 익혀도, 검색이 훨씬 쉽고 똑똑해질 거예요.^^
'소소하지만 도움되는 모바일 활용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니어를 위한 카카오톡 채널 활용법 – 관심 있는 소식·쿠폰·정보 한 번에 받기 (1) | 2025.08.13 |
---|---|
카카오톡 말풍선 태그 사용해보기! 나만의 메모를 똑똑하게 정리하는 방법! (2) | 2025.08.09 |
카카오톡 책갈피 기능 사용법! 꼭 필요한 메시지를 쉽게 찾아보기! (1) | 2025.08.09 |
정보 찾고, 저장까지! 네이버 Keep 완전 정복! (4) | 2025.08.07 |
손가락 대신 말로 쓰자! 음성으로 글을 입력하는 쉬운 방법 (2) | 2025.08.06 |
중요한 전화, 잊지 않으려면? 통화 녹음 기능으로 똑똑하게 기억하세요! (5) | 2025.08.06 |
카카오맵 도보 안내 기능 100% 활용법 (3) | 2025.08.05 |
누구나 쉽게 활용하는 네이버 지도 도보 안내 기능 (2) | 2025.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