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드로잉을 막 시작한 분들께 꼭 알려드리고 싶은 개념들이 있어요.
바로 픽셀, RGB 색상, 채도, 명도에 대한 이야기예요.
이런 단어들, 한 번쯤 들어보셨을 텐데요. 막상 그 뜻을 설명하라고 하면 조금 막막하시죠?
오늘은 이 개념들을 최대한 쉽게 풀어 설명해드릴게요.
목차
- 픽셀(Pixel) – 디지털 그림의 최소 단위
- RGB 색상 – 디지털에서 색을 표현하는 방법
- 채도(Saturation) – 색의 선명함을 나타내요
- 명도(Brightness) – 밝기 조절의 핵심
픽셀(Pixel) – 디지털 그림의 최소 단위
📌 픽셀은 뭐예요?
픽셀은 디지털 이미지에서 가장 작은 색상 단위예요. 우리가 화면에서 보는 모든 그림, 사진, 아이콘은 사실 수많은 작은 정사각형 점, 즉 ‘픽셀’로 이루어져 있어요.
예를 들어 “100x100 픽셀” 크기의 그림이라면, 가로 100개, 세로 100개의 픽셀이 모여 만들어진 그림이라는 뜻이죠. 총 10,000개의 점이 모여 하나의 이미지를 만들고 있는 거예요.
📌 왜 중요할까요?
픽셀 개념을 이해하면 아래 같은 점이 훨씬 쉬워져요:
- 해상도 조절이 왜 중요한지 알게 돼요.
- 너무 작은 캔버스에 그리면 확대할 때 뿌옇게 깨지는 이유를 알 수 있어요.
- 출력용 이미지와 웹용 이미지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어요.
✅ 입문자 TIP
처음에는 2000x2000 픽셀 이상의 캔버스를 사용하는 걸 추천해요. 너무 작으면 나중에 확대했을 때 화질이 깨져요.
RGB 색상 – 디지털에서 색을 표현하는 방법
📌 RGB는 어떤 색인가요?
디지털에서 색을 표현할 때는 빛의 삼원색인 Red(빨강), Green(초록), Blue(파랑) 세 가지를 섞어서 색을 만들어요. 그래서 ‘RGB 모드’라고 부르는 거예요.
- Red + Green = 노랑
- Red + Blue = 자홍
- Green + Blue = 청록
- 세 가지 모두 0 = 검정
- 세 가지 모두 255 = 흰색
이렇게 RGB 값을 조합해서 수십만 가지 색을 표현할 수 있어요!
📌 어디에 쓰이나요?
- 디지털 드로잉 소프트웨어에서 색을 고를 때
- 컬러 슬라이더를 움직이면 RGB 값이 바뀌어요.
- 색상을 저장하거나 복사할 때 RGB 코드가 쓰여요. 예: #FF5733
✅ 입문자 TIP
색을 고를 때 숫자를 외울 필요는 없지만, 어떤 색이 RGB 조합에서 나오는지는 조금씩 감 잡아두면 좋아요.
채도(Saturation) – 색의 선명함을 나타내요
📌 채도란?
채도는 색이 얼마나 선명한가, 또는 얼마나 회색에 가까운가를 나타내요.
- 채도가 높을수록 → 쨍하고 선명한 색
- 채도가 낮을수록 → 탁하고 흐린 색, 결국 회색에 가까워짐
예를 들어, 채도가 높은 파랑은 선명하고 진하지만, 채도를 낮추면 회색빛이 도는 흐릿한 파랑이 돼요.
📌 언제 조절할까요?
- 배경은 채도를 낮추면 부드럽고 차분한 느낌을 줄 수 있어요.
- 중심 요소에는 채도를 높이면 시선이 집중돼요.
✅ 입문자 TIP
한 장면에 너무 채도가 높은 색을 많이 쓰면 눈이 피로할 수 있어요. 주제만 강조하고, 나머지는 채도를 낮추는 게 좋답니다.
명도(Brightness) – 밝기 조절의 핵심
📌 명도는 뭐예요?
명도는 색의 밝기 정도를 말해요.
- 명도가 높을수록 → 밝고 환한 색
- 명도가 낮을수록 → 어두운 색
같은 빨강색이라도 명도에 따라 완전히 다른 느낌을 줄 수 있어요. 밝은 빨강은 경쾌하고, 어두운 빨강은 무게감이 있어요.
📌 어떤 효과를 줄 수 있을까요?
- 빛이 닿는 부분은 명도를 높여서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어요.
- 그림자나 어두운 부분은 명도를 낮춰서 무게감과 깊이를 줄 수 있어요.
✅ 입문자 TIP
그림에서 밝기 조절만 잘해도, 훨씬 고급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어요. 단순 색상보다 명도와 채도 차이를 더 의식해보세요.
디지털 드로잉을 시작하면 처음엔 색이 왜 이렇게 다르고, 어떻게 써야 할지 막막할 수 있어요.
하지만 오늘 소개해드린 픽셀, RGB 색상, 채도, 명도만 이해해도, 그림을 그릴 때 자신감이 훨씬 생길 거예요.
너무 어려워하지 마세요. 개념을 조금씩 익히면서 실습해보다 보면 자연스럽게 체득되는 지점이 분명히 생깁니다.
그림은 재미있게, 조금씩 자신만의 리듬대로 익혀나가는 게 가장 중요해요!
앞으로도 디지털 드로잉을 더 쉽게 배울 수 있는 꿀팁을 계속 소개해드릴게요.
'디지털로 스마트한 취미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드로잉 입문자라면 꼭 알아야 할 기초 개념 선택 툴과 변형 툴 (2) | 2025.08.01 |
---|---|
디지털 드로잉 입문자라면 꼭 알아야 할 기초 개념 레이어와 브러쉬 (2) | 2025.07.31 |
입문자에게 추천하는 드로잉 앱 Pen Up (0) | 2025.07.28 |
디지털 드로잉 장비 뭐가 좋을까? 아이패드부터 스마트폰까지 장단점 총정리! (3) | 2025.07.27 |
디지털 드로잉 시작! 학원vs독학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 (1) | 2025.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