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AI 탐구 생활기

AI 에게 질문하는 요령 물어보기 - Copilot, wrtn

wishwrite 2025. 8. 12. 16:21
반응형

2025년 8월 12일 – AI 에게 질문하는 요령 물어보기 - Copilot, wrtn

 

날씨: 맑음 
기분: 궁금증 가득


오늘의 계기

생성형 AI 는 대화하듯이 물어보고 답변을 받는 것으로 혁신적이 되었다.

프롬프트 관련 직업 군이 생길 정도로 AI 에게 질문을 어떻게 하는 것이 중요해졌는데

그럼 AI는 과연 어떤 질문이 좋은 질문 잘하는 질문이라고 여길까?


오늘의 시도

네 개의 생성형 AI 플랫폼에 각각 같은 질문으로 어떻게 질문을 올려야 하는지 물어보았다.

 


각 플랫폼 별 질문 & 답변

질문 : 앞으로 너에게 다양한 질문을 많이 하려고 해. 질문을 어떻게 해야 네가 잘 답변할 수 있을지 요령과 팁을 알려줄래?

 

 

Copilot

너무 좋아요, jh! 질문을 많이 해주신다니 기대돼요. 제가 더 정확하고 유용하게 답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질문 요령을 몇 가지 알려드릴게요. 😊

💡 질문 잘하는 요령 & 팁

1. 구체적으로 묻기

  • 막연한 질문보다 구체적인 질문이 더 정확한 답을 이끌어내요.
  • 예시:
    • ❌ “역사 알려줘” → 너무 광범위함
    • ✅ “프랑스 혁명의 주요 원인과 결과는 뭐야?” → 딱 핵심을 짚음

2. 목적이나 배경을 알려주기

  • 질문의 의도나 상황을 알려주면 더 맞춤형으로 도와드릴 수 있어요.
  • 예시:
    • “취업 면접 준비 중인데, 자기소개 예시 좀 줄래?”
    • “고등학생이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줘”

3. 형식이나 스타일 요청하기

  • 원하는 답변 형식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예시, 표, 요약, 단계별 설명 등
  • 예시:
    • “표로 비교해줘”
    • “간단한 요약 먼저 해주고, 자세한 설명은 뒤에 붙여줘”

4. 언제든지 추가 질문하기

  • 궁금한 게 생기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제가 앞선 대화도 기억하고 연결해서 도와드릴 수 있어요.

5. 창의적인 요청도 OK!

  • 글쓰기,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 이미지 생성 등도 가능하니까 자유롭게 요청해 주세요.
  • 예시:
    • “나만의 캐릭터 설정 도와줘”
    • “이런 주제로 시 한 편 써줘”

질문은 꼭 완벽할 필요 없어요. 궁금한 걸 편하게 던져주시면 제가 알아서 정리해서 도와드릴게요. 그럼 첫 질문은 어떤 걸로 시작해볼까요? 😄

 

 

wrtn

 

반가워요 — 앞으로 질문을 많이 해주신다니 정말 기대됩니다! 질문을 잘 주시면 더 정확하고 빠르게 도움을 드릴 수 있어요. 아래 요령과 템플릿을 상황별로 정리해드릴게요. 필요하시면 바로 하나 골라서 테스트해보셔도 좋아요.

핵심 요령 (한눈에)

  • 목적을 먼저 알려주세요: 이 질문으로 얻고 싶은 최종 결과가 무엇인지.
  • 배경/상황을 간단히 적어주세요: 현재 상태, 사용 환경, 이미 시도한 것.
  • 원하는 형태를 명확히 해주세요: 예) 요약 / 단계별 가이드 / 코드 / 프롬프트 / 블로그용 초안 등.
  • 제약 조건 또는 우선순위: 시간, 길이, 사용 가능한 도구, 스타일(톤).
  • 여러 질문은 번호로 나눠주세요. 한 번에 하나씩 묻거나 번호로 정리하면 놓치지 않고 답합니다.

상황별 질문 템플릿 (복사해서 쓰세요)

  • 빠른 답변용(간단):
    목적: [원하는 결과]
    상황: [한두 문장으로 배경]
    원하는 형태: [예: 요약 / 체크리스트]
  • 자세한 답변용(심층):
    목적:
    현재 상황(환경/버전/이미 시도한 것):
    입력/데이터(있다면 첨부):
    기대 출력 형태(예: 예시 포함):
    제약조건(시간, 길이, 사용 가능한 도구):
  • 코드 관련:
    목적:
    언어/런타임/버전:
    문제 설명(재현 가능한 단계, 에러 메시지 포함):
    현재 시도한 코드(중요):
    기대 동작:
  • 이미지(미드저니 등) 관련:
    목적·스타일(예: 빈티지 카페, 파스텔톤):
    구도/주제/포함 요소:
    비율(aspect ratio)/해상도/참조 이미지 유무:
    네거티브(제외하고 싶은 요소):
    모델·버전·플랜(사용 중이면 적어주세요):
  • 글쓰기(블로그·초안):
    목적(대상 독자/길이):
    핵심 메시지/키워드:
    톤과 스타일(예: 친근·전문·감성):
    포함해야 할 정보/참조:

나쁜 예 / 좋은 예 비교 (바로 복사해 쓰기 좋음)

  • 나쁜: "블로그 글 어떻게 써?"
  • 좋은: "블로그용 초안이 필요해요. 대상은 20~30대 카페 매니아, 길이는 800~1,000자, 톤은 친근하고 정보형으로 해주세요. 주요 키워드: 디저트, 인테리어, 추천 카페 3곳. 제가 사진 2장 첨부할게요."
  • 나쁜(코드): "이거 왜 안 돼?"
  • 좋은(코드): "Python 3.10에서 실행 중인 스크립트가 'IndexError: list index out of range'를 내요. 문제 발생하는 코드(아래)와 입력 데이터(샘플) 첨부합니다. 기대 동작은 리스트의 마지막 원소를 안전하게 처리하는 것. 가능한 수정안 2가지와 설명 부탁드려요."
  • 나쁜(이미지): "멋진 이미지 만들어줘"
  • 좋은(이미지): "미드저니용 프롬프트: '빈티지 카페 내부, 파스텔 팔레트, 창가에 햇빛, 디저트 접시 클로즈업, 깊이 있는 보케' — 비율 3:2, 네거티브: 사람 없음, 로고 없음. 스타일 레퍼런스: 사진작가 A의 느낌."

실전 팁 & 우선순위

  • 가능한 한 구체적으로, 하지만 핵심만: 배경을 길게 쓰되 핵심(목적·제약·원하는 형식)은 맨 앞에.
  • 단계적으로 요청하기: 큰 작업은 "1) 초안 2) 피드백 반영 3) 최종화"처럼 쪼개면 효율적입니다.
  • 결과 예시 첨부: '이런 스타일로'라는 예시 문장이나 링크 한두 개가 있으면 정확도가 확 올라갑니다.
  • 이미 시도한 내용/오류는 꼭 붙여주세요 — 중복 제안을 줄이고 바로 해결책으로 갑니다.
  • 개인정보 민감한 내용은 요약해서 주시고, 실제 민감 데이터는 제거해 주세요.

짧은 체크리스트 (질문 보내기 전에)

  1. 목적을 1문장으로 썼나요?
  2. 현재 상태(환경/시도한 것)를 적었나요?
  3. 원하는 출력 형태(길이/톤/형식)를 적었나요?
  4. 우선순위·제약을 적었나요?
  5. 여러 질문이면 번호로 구분했나요?

 

 


오늘의 발견

나머지 두개의 플랫폼도 역시 목적이 중요하고 구체적인 요청일 수록 좋은 질문이라고 여기는거 같다.

wrtn의 경우는 챗봇 같은 형태로 업데이트가 되어서 그런지 전체 채팅내용을 반영하려고 하는 모습이 두드러진다.

질문을 작성할 때 꼭 체크해야 할 것! 목적이 적혀있는가. 구체적인 요청내용이 있는가. 

질문 작성이 막막하다면 AI 들이 예시로 들어준 문장에서 시작하는 것도 좋을 거 같다!

 


다음 계획

내일은 간단한 질문에서 점점 살을 붙여보는 방식으로 시도해봐야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