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는 전화가 가장 중요한 소통 수단이었지만, 이제는 메세지와 카카오톡 같은 채팅 기능이 더 많이 사용됩니다.
특히, 스마트폰에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메세지 앱이 있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카카오톡도 거의 모든 사람이 씁니다.
그런데 혹시, 문자는 1:1로만 보낼 수 있다고 생각하셨나요?
그리고 카카오톡에서 그룹 채팅방을 만드는 방법이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오늘은 스마트폰으로 더 편리하게 소통하는 소소한 팁을 소개해 드릴 테니, 보면서 따라 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목차
갤럭시 채팅+ 기능 활용하기
갤럭시 스마트폰을 사용하신다면, 기본 메세지 앱에 있는 채팅+ 기능을 활용하면 더 편리한 소통이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시니어분들이 이 앱을 단순한 문자 기능으로만 알고 계시지만, 사실 단체 메세지, 사진 및 영상 공유 기능도 지원합니다.
갤럭시 채팅+의 주요 기능
✅ 1:1 문자뿐만 아니라 그룹 대화 가능
✅ 사진, 동영상, 파일 공유
✅ 기존 문자보다 빠르고 편리한 메시지 전송
✅ 이모티콘, 이모지 전송 가능
갤럭시 채팅+로 단체 메시지 보내는 방법
- 갤럭시 기본 메세지 앱을 실행합니다.
- 화면 오른쪽 아래의 새 메세지 아이콘을 눌러 단체 문자를 터치해주세요.
- 여러 명의 연락처를 선택하여 그룹을 만듭니다.
- 문자를 작성하고 전송 버튼을 누르면 단체 메세지가 발송됩니다!
단, 채팅+ 기능은 갤럭시 스마트폰 사용자끼리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상대방이 갤럭시 폰이 아니라면 일반 문자로 전송됩니다.
아이폰 iMessage 활용하기
아이폰을 사용하신다면, 기본 메세지 앱에서 iMessage 기능을 활용해 보세요.
단순한 문자 전송뿐만 아니라 그룹 메시지, 사진 및 영상 공유, 다양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iMessage의 주요 기능
✅ 아이폰 사용자끼리 인터넷을 이용한 메세지 주고받기
✅ 그룹 채팅방 생성 가능
✅ 사진, 동영상, 음성 메세지 전송 가능
✅ 풍선 효과,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메시지 효과 제공
iMessage로 그룹 메시지 보내는 방법
- 아이폰의 메세지 앱을 실행합니다.
- 오른쪽 상단의 새 메세지 아이콘을 터치합니다.
- 여러 명의 연락처를 추가하여 그룹을 만듭니다.
- 메시지를 입력하고 전송하면, 그룹 메시지로 전달됩니다!
iMessage는 아이폰 사용자끼리만 작동합니다. 상대방이 아이폰이 아니라면 일반 문자(SMS)로 전송됩니다.
카카오톡에서 그룹 채팅방 만들기
스마트폰을 사용하시는 대부분의 분들이 카카오톡을 이용하고 계실 텐데요, 1:1 채팅은 익숙하지만 직접 그룹 채팅방을 만들어 본 적이 없는 분들도 많으실 거예요.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그룹 채팅방을 만드는 것은 정말 간단합니다.
카카오톡 그룹 채팅방 만드는 방법
- 카카오톡 앱을 실행하고, 채팅 목록으로 이동합니다.
- 화면 오른쪽 아래에 있는 말풍선(채팅 추가) 버튼을 터치합니다.
- 새로운 채팅 > 여러 명 선택을 눌러 가족, 친구들을 추가합니다.
- 확인 버튼을 누르면 새로운 그룹 채팅방이 만들어집니다!
그룹 채팅방에서는 이렇게 활용하세요!
- 가족과 함께 사진과 영상 공유하기
- 모임, 약속 날짜 정하기
- 친구들과 실시간으로 대화 나누기
그룹 채팅방에서 원하는 친구를 초대하려면? 채팅방 상단에서 메뉴 버튼(≡) > 친구 초대를 선택하면 됩니다.
사실 알고 보면 스마트폰 메세지와 카카오톡 기능은 어렵지 않습니다.
처음에는 낯설지만, 몇 번만 사용해 보면 금방 익숙해지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따라해보시고 더 쉽고 편리하게 소통해 보세요!
'소소하지만 도움되는 모바일 활용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요한 문자를 놓치지 않기 위한 문자 메시지 정리 팁! (0) | 2025.04.08 |
---|---|
스마트폰 사진 스마트하게 관리하기 (0) | 2025.03.26 |
스마트 렌즈 기능으로 세상의 정보 쉽게 찾기! (0) | 2025.03.13 |
방해금지, 개인시간 기능으로 온전히 집중하는 시간 만들기! (0) | 2025.03.11 |
스마트폰에서 단축번호 그리고 바로가기 로 편하게 전화하세요! (0) | 2025.03.05 |
스마트폰 업데이트, 어렵지 않아요! (0) | 2025.03.02 |